Web Application/Spring boot (16) 썸네일형 리스트형 [spring] Spring Boot를 이용하여 RESTful API 개발(1) - RESTful API 설계 가이드 및 개발하기 RESTful API를 개발 하기 전 REST에 대해 궁금한 사람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자. 2023.04.21 - [Web Application/Spring boot] - [spring] Spring Boot를 이용하여 RESTful API 개발(1) - REST, RESTful API에 대한 설명 및 REST의 제약조건과 장점 [spring] Spring Boot를 이용하여 RESTful API 개발(1) - REST, RESTful API에 대한 설명 및 REST의 제약조건과 장 REST 란 REST의 정의 ①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어로 자원(resource)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자원의 상태를 주고받는 것을 의미한다. ② 웹 아키텍처의 일부로서, 분산 하이퍼미.. [spring] Spring Boot를 이용하여 RESTful API 개발(1) - REST, RESTful API에 대한 설명 및 REST의 제약조건과 장점 REST 란 REST의 정의 ①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어로 자원(resource)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자원의 상태를 주고받는 것을 의미한다. ② 웹 아키텍처의 일부로서,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위한 아키텍처 스타일이다. REST API 란 REST 아키텍처의 제약 조건을 지키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뜻한다. RESTful API 역시 REST 아키텍처의 제약조건을 따르는 API를 말하며, 어떤 의미에서는 동일한 개념이지만 RESTful API는 보다 일반적으로 REST 아키텍처의 제약조건(원칙)을 더 엄격하게 따른다. (* REST API는 RESTful API보다 덜 엄격한 의미로 사용되며, RESTful API는 REST API의 하위 집합이라.. [Spring] spring boot에서 MySQL 연결 - 스프링부트에서 JPA를 사용하는 방법 및 간단한 기능 구현 프로젝트 생성 스프링부트에서 JPA를 사용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생성해야 한다. 만약, 프로젝트를 생성하지 않았으면 아래 이미지 또는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여 프로젝트를 생성해 준다.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면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도록 하자.) 2023.03.05 - [Web Application/Spring boot] - [spring] 1. IntelliJ를 이용하여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 의존성 추가 및 데이터베이스 설정 이미 프로젝트가 생성된 상태라면 JPA를 사용하기 위한 의존성이 추가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pom.xml에 JPA와 MySQL 관련 의존성이 추가되어 있는지 확인한 후 추가되어 있지 않는 경우 아래의 의존성을 추가한다. org.spr.. [spring] Spring Boot(스프링부트) - sftp를 사용하여 원격서버 파일 다운로드 받는 방법 FTP vs SFTP 차이점 sftp를 사용하기 전에 ftp와 sftp의 차이점을 먼저 알아보자. 첫번째는 ftp와 sftp는 보안적으로 차이가 있는데, ftp의 경우 인증 및 암호화 기능이 없고 sftp ssh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인증 및 암호화 기능을 제공한다. 두번째는 기능에 차이가 있다. ftp는 파일 전송만 가능하고, sftp는 파일 전송 뿐만 아니라 원격 서버에서 명령 실행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이 외에도 다른 차이점들이 존재하는데, 보안이 중요한 경우에는 sftp를 사용하는게 좋다. 원격서버 접속 원격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 JSch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접속한다. Maven을 사용하기 때문에 아래 의존성을 pom.xml에 추가해준다. com.jcraft jsch 0... [spring] Spring Boot - Aop개념 및 사용 방법 AOP의 개념 AOP(Aspect-Oriented Programming)은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의 약자로, 객체지향프로그래밍에서 관심사의 분리를 통해 비즈니스 로직과 관련 없는 부가적인 기능들을 모듈화는 방식이다. AOP는 프로그램의 모듈성, 유연성, 재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비즈니스 로직과 부가 기능을 분리할 수 있어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대표적으로 Spring Framework에서 지원하며 로깅, 보안, 트랜잭션 처리 등에 활용할 수 있다. AOP 사용하기 먼저, AOP를 사용하기 전에 관련 개념과 Annotation을 살펴보자. JoinPoint Aspect가 적용될 수 있는 지점 Advice Aspect의 구현체로 JoinPoint에 적용되는 부가 기능을 구현.. 이전 1 2 3 4 다음